서유럽 연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유럽 연합(WEU)은 1948년 브뤼셀 조약에 따라 설립된 경제, 문화, 사회 협력을 위한 정부 간 방위 동맹으로, 이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설립과 유럽 공동체의 발전으로 인해 권한이 축소되었다. 1954년 서독과 이탈리아가 가입하면서 재편되었으며, 유럽의 경제 회복, 상호 방위, 유럽 통합을 목표로 했다. 1970년대 이후 유럽 연합으로의 안보 기능 이전을 거쳐, 2011년 공식 해체되었다. WEU는 10개의 회원국, 6개의 준회원국, 5개의 옵서버 국가, 7개의 준 파트너 국가를 두었으며, 군사 및 비군사적 활동을 수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유럽 연합 - 브뤼셀 조약
브뤼셀 조약은 냉전 초기 소련의 위협과 부흥하는 독일에 대비하여 벨기에, 프랑스,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영국 5개국이 체결한 상호방위 조약으로, 서유럽 연합(WEU)으로 발전 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출범으로 역할이 축소되어 종료되었다. - 서유럽 - 서유럽 표준시
서유럽 표준시(WET)는 협정 세계시(UTC)보다 0시간 빠르며, 영국, 아일랜드, 포르투갈 등에서 사용되지만, 서머타임 시행 시에는 서유럽 서머타임(WEST, UTC+1)을 사용한다. - 서유럽 - 서유럽 일광 절약 시간대
서유럽 일광 절약 시간대는 협정 세계시보다 1시간 빠른 시간대로, 주로 유럽에서 하계 기간 동안 시행되며 일부 지역에서 현재 사용되고 과거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었지만, 경제적 효과와 사회적 영향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유럽의 국제 기구 - 발트 의회
발트 의회는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3개국 의회 간 협력 기구로서, 러시아군 철수, 공동 정책 개발 등을 추진하며, 60명의 의원으로 구성되어 연 1회 정기 회의를 개최한다. - 유럽의 국제 기구 - 경제상호원조회의
경제상호원조회의는 소련이 마셜 플랜에 대응하여 1949년 설립한 사회주의 국가 경제 협력 기구로, 소련의 영향력, 경제적 불균형, 비효율적 계획경제로 목표 달성에 실패하고 1991년 해체되었다.
서유럽 연합 | |
---|---|
개요 | |
정식 명칭 | 서유럽 연합 (Seoyurop Yeonhap) |
프랑스어 명칭 | Union de l'Europe occidentale (Unyong deu Leurope okidental) |
독일어 명칭 | Westeuropäische Union (베스트오이로페이셰 우니온) |
약칭 | WEU |
유형 | 국제 기구 |
성격 | 군사 동맹 |
존속 기간 | 1954년 10월 23일 ~ 2011년 6월 30일 |
해체 사유 | 폐지 |
후신 | 유럽 연합 (CSDP) 유럽 평의회 |
수도 | 브뤼셀 |
역사 | |
설립 | 수정된 브뤼셀 조약 (1954년 10월 23일) |
문화 임무 이관 | CoE로 이관 (1960년 1월 1일) |
로마 선언 | 1984년 10월 27일 |
유럽 안보 이익 플랫폼 | 1987년 10월 27일 |
페테르스베르크 선언 | 1992년 6월 19일 |
유럽 안보 방위 정체성 도입 | 1996년 6월 4일 |
리스본 조약 | 2009년 12월 1일 |
해체 | 2011년 6월 30일 |
상징 | |
![]() | |
회원국 | |
완전 회원국 | 벨기에 프랑스 독일 그리스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포르투갈 스페인 영국 |
준회원국 |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튀르키예 |
옵서버 | 오스트리아 덴마크 핀란드 아일랜드 스웨덴 |
준가맹국 | 체코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헝가리 폴란드 슬로바키아 불가리아 루마니아 |
지도 | |
2. 역사
브뤼셀 조약은 1948년 3월 17일 영국, 프랑스, 베네룩스 3국(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이 서명하여 초기 서유럽 연합(Western Union, WU)을 설립하는 기초가 되었다. 이 조약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의 경제, 사회, 문화적 협력을 증진하고 공동 방위를 구축하기 위한 정부 간 동맹이었다.
그러나 1949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가 창설되면서 서유럽 방위의 핵심 역할은 NATO로 넘어가게 되었다. 1950년 12월, 브뤼셀 조약 당사국들은 서유럽 연합 방위 기구(WUDO)의 기능 대부분을 NATO로 이전하기로 결정했다.[4][5][6][7][8] 이와 함께 유럽 경제 협력 기구(OEEC), 유럽 평의회,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ECSC) 등 다른 유럽 기구들이 등장하면서 초기 서유럽 연합의 역할은 점차 축소되었다.
1954년, 유럽 방위 공동체(EDC) 창설 시도가 프랑스 의회의 반대로 무산되자, 대안으로 브뤼셀 조약을 수정하여 서독과 이탈리아를 포함하는 새로운 안보 협력 틀을 만들게 되었다. 런던 및 파리 회의를 거쳐 수정된 브뤼셀 조약이 체결되면서 공식적으로 서유럽 연합(Western European Union, WEU)이 출범했다. 이는 서독을 서방 방위 체제에 통합하고 독일 점령을 종식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9] 수정된 조약은 유럽 경제 회복 지원, 침략에 대한 공동 대응, 유럽 통합 증진을 목표로 삼았다. 하지만 WEU의 사회 및 문화적 기능은 곧 유럽 평의회로 이관되었고[10][11], NATO의 존재로 인해 군사적 역할도 제한적이어서 WEU는 한동안 큰 활동 없이 유지되었다.
1984년 로마 선언을 통해 WEU는 재활성화의 계기를 맞았다. 이는 유럽 공동체 내에서 독자적인 안보 협력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의 일환이었다.[14][15] 1992년에는 페테르스베르크 선언을 채택하여 인도적 지원, 평화 유지, 위기 관리 등 이른바 '페테르스베르크 임무'를 정의하며 활동 범위를 넓혔다.[16] 1996년에는 NATO와의 협력을 통해 유럽 국가들이 NATO 자산을 활용하여 독자적인 안보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유럽 안보 및 방위 정체성(ESDI) 구축에 합의했다.[17]
1990년대 후반, 특히 코소보 전쟁을 계기로 유럽 연합(EU)의 독자적인 안보 및 방위 능력 강화 필요성이 커지면서 WEU의 역할은 점차 EU로 통합되기 시작했다. 1998년 생 말로 선언은 EU의 공동 안보 및 방위 정책(CSDP) 발전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18] 암스테르담 조약(1999년 발효)과 니스 조약을 거치면서 페테르스베르크 임무를 포함한 WEU의 주요 기능과 조직(안보 연구소, 위성 센터 등)이 단계적으로 EU로 이관되었다.[20] 하비에르 솔라나는 EU의 외교안보 고위대표와 WEU 사무총장을 겸임하며 이러한 이관 과정을 조율했다.
2009년 리스본 조약이 발효되면서 EU 차원의 상호 방위 조항이 도입되는 등[24] WEU의 존립 근거는 더욱 약화되었다.[2] 결국 회원국들은 WEU를 해체하기로 결정했고, 2010년 주요 회원국들의 탈퇴 선언에 이어[26][27][28] 2011년 6월 30일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2. 1. 배경 (1948-1954)
브뤼셀 조약은 영국, 프랑스, 벨기에,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5개국이 1948년 3월 17일 서명하여 창설한 서유럽 연합 (WU)에 기반을 둔다. 이 조약은 경제, 문화, 사회 분야에서의 협력을 증진하고 집단 방위를 목적으로 하는 정부 간 동맹이었으며, 냉전 초기 공산주의 확산에 공동으로 대응하려는 의도도 담고 있었다. 브뤼셀 조약에 따른 방위 조직은 "서방 연합 방위 기구"(Western Union Defence Organization, WUDO)로 구체화되었다.그러나 북대서양 조약에 따른 정치 및 군사 구조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1949년 4월 북대서양 조약 기구 (NATO)가 창설되었다.[4][5][6][7][8] 이에 따라 1950년 12월, 브뤼셀 조약 당사국들은 서방 연합 방위 기구(WUDO)의 본부, 인력, 계획 등 기능 대부분을 NATO로 이관하기로 합의했고, NATO의 유럽 연합군 최고 사령부 (SHAPE)가 서유럽 방위를 책임지게 되었다.
NATO 창설 전후로 유럽 경제 협력 기구 (OEEC, 1948년 4월), 유럽 평의회 (1949년 5월),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ECSC, 1951년 4월) 등 다른 유럽 기구들이 설립되면서 브뤼셀 조약과 초기 서유럽 연합의 역할은 점차 축소되었다.
유럽 방위 공동체 (EDC) 창설 시도가 무산된 후,[38] 1954년 10월 23일 파리 협정을 통해 브뤼셀 조약이 수정되었다. 이 협정으로 기존 서유럽 연합(WU)에 서독과 이탈리아가 새롭게 가입하였고, 조직 명칭은 서유럽 연합 (WEU)으로 변경되었다. 일부에서는 프랑스가 한때 이 기구를 유럽 방위의 중심으로 삼으려 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38]
수정된 브뤼셀 조약 전문에서 파리 협정 서명국들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목표를 명시했다:
- 서유럽 경제 부흥을 위한 기반 구축
- 침략에 대한 상호 원조 제공
- 유럽 통합의 점진적 추진
2. 2. 창설과 초기 활동 (1954-1984)
서유럽 연합(WEU)의 창설은 1954년 유럽 방위 공동체(EDC) 설립 조약이 프랑스 의회의 비준을 얻지 못하면서 시작되었다. 당시 EDC는 서독을 서방 방위 체제에 통합하고, 1952년 체결된 독일 일반 조약(Deutschlandvertragde)에 따라 연합군의 독일 점령 상태를 종식하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 여겨졌다.[9]
EDC 구상이 무산되자, 대안으로 기존의 브뤼셀 조약(1948년 체결)을 수정하는 방안이 추진되었다. 1948년 3월 17일 영국, 프랑스, 벨기에, 룩셈부르크, 네덜란드가 서명한 브뤼셀 조약은 본래 집단 방위뿐 아니라 경제, 문화, 사회 분야 협력 증진을 목표로 했다. 1954년 런던 및 파리 회의를 거쳐 10월 23일 파리 협정이 체결되었고, 이를 통해 브뤼셀 조약이 수정되면서 서유럽 연합(WEU)이 공식 출범했다. 이 과정에서 이탈리아와 서독이 새로운 회원국으로 가입했으며, 서독의 WEU 가입은 독일 점령 종식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인정받았다.[9]
수정된 브뤼셀 조약에 따라 설립된 WEU는 본래의 브뤼셀 조약 기구나 무산된 EDC 구상보다는 상대적으로 덜 강력하고 야심적인 성격을 가졌다.[9] 파리 협정 서명국들은 수정된 브뤼셀 조약 전문에서 WEU의 세 가지 주요 목표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 서유럽에 유럽 경제 회복을 위한 확고한 기반 마련
- 어떠한 침략 정책에도 저항하는 데 상호 지원 제공
- 유럽의 통합 증진 및 점진적인 통합 장려
그러나 WEU의 초기 활동은 제한적이었다. 창설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브뤼셀 조약에 포함되었던 사회적, 문화적 기능들은 업무 중복을 피하기 위해 유럽 평의회(CoE)로 이관되었다. 이는 1959년 10월 21일 WEU 이사회의 결정과 동년 11월 16일 유럽 평의회 각료위원회의 결의안(59)23 채택을 거쳐 1960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사회 위원회, 공중 보건 위원회, 장애인 재활 및 재정착 공동 위원회, 문화 위원회 등의 활동이 유럽 평의회로 넘어갔으며, 유럽 대학 위원회 역시 별도로 이관되었다.[10][11]
이러한 기능 이관과 더불어, 이미 강력한 집단 방위 체제로 기능하고 있던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존재로 인해 WEU의 역할은 상당 부분 축소되었고, 사실상 활동이 유명무실해지는 결과를 낳았다.[10] 이 시기 프랑스 일각에서는 WEU를 유럽 방위의 중추로 삼으려는 구상을 하기도 했으나[38], 전반적으로 WEU는 1984년 이전까지 국제 정치 무대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2. 3. 재활성화 (1984-1998)
1970년대 후반부터 유럽 공동체의 유럽 정치 협력(EPC)에 안보 차원을 추가하려는 노력이 있었으며, 이는 겐셔-콜롬보 구상으로 구체화되었다.[12] 덴마크, 그리스, 아일랜드가 이러한 노력에 반대하자,[13] 나머지 유럽 공동체 국가들(모두 서유럽 연합 회원국)은 1984년 로마 선언을 채택하여 서유럽 연합을 재활성화했다.[14] 이 시점 이전에는 수정된 브뤼셀 조약의 조항이 거의 활용되지 않았다.[15]1992년 서유럽 연합은 동유럽의 불안정 가능성에 대처하기 위해 페테르스베르크 선언을 채택하여 이른바 '페테르스베르크 임무'를 정의했다. 서유럽 연합 자체는 상비군을 가지고 있지 않았지만 회원국 간의 협력에 의존했다. 그 임무는 가장 소규모의 임무에서 가장 강력한 임무까지 다양했으며, 인도주의, 구조 및 평화 유지 임무뿐만 아니라 위기 관리에서 평화 조성을 포함한 전투 부대 임무도 포함했다.[16]
1996년 베를린에서 열린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각료 회의에서는 서유럽 연합이 NATO 구조 내에서 유럽 안보 및 방위 정체성(ESDI)의 창설을 감독하기로 합의했다.[17] ESDI는 부분적으로는 유럽 국가들이 NATO가 원치 않는 경우 군사적으로 행동할 수 있도록 하고, 부분적으로는 냉전 이후 유럽에 군사 기지를 유지해 온 미국의 재정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NATO 내의 유럽 '기둥'으로 의도되었다. 베를린 협정은 유럽 국가(서유럽 연합을 통해)가 원할 경우 NATO 자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2. 4. 유럽 연합으로의 통합 (1998-2009)
1998년, 전통적으로 유럽의 독자적 방위 능력 구축에 신중한 입장이었던 영국이 생 말로 선언에 서명하면서 중요한 변화가 시작되었다. 이 선언은 유럽의 독자적인 군사력 창설을 지지하며 공동 안보 및 방위 정책(CSDP, 당시 ESDP) 수립의 계기가 되었다. 이는 1990년대 후반 코소보 전쟁 등에서 유럽 연합(EU)이 효과적으로 분쟁에 개입하지 못했다는 평가에 따른 대응이기도 했다.[18][19]독립적인 유럽 안보 체제가 북대서양 조약 기구를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었다. 이에 미국의 매들린 올브라이트 당시 국무장관은 NATO와의 '3D' 원칙(중복 금지(no duplication), 분리 금지(no decoupling), 비EU 회원국 차별 금지(no discrimination))을 제시하며 미국의 입장을 밝혔다.

1999년 발효된 암스테르담 조약은 서유럽 연합(WEU)의 주요 임무였던 페테르스베르크 임무를 유럽 연합으로 이관하도록 명시했다. 또한, 이 임무를 바탕으로 EU의 공동 안보 및 방위 정책(CSDP)이 점진적으로 발전될 것임을 밝혔다. 같은 해 6월, 쾰른 유럽 이사회는 WEU의 역할을 EU 내로 통합하기로 결정하며 사실상 WEU의 독자적 역할 축소를 예고했다. 이 회의에서는 하비에르 솔라나를 공동 외교 및 안보 정책 고위 대표로 임명했으며, 그는 1999년 11월 20일부터 WEU 사무총장도 겸임하게 되었다. 솔라나는 두 조직의 수장으로서 WEU의 기능과 조직을 EU로 원활하게 이관하는 과정을 감독했다.
2000년 11월 13일, WEU 회원국 각료들은 마르세유에서 만나 WEU의 기능과 역량을 EU의 공동 외교 및 안보 정책(CFSP) 및 공동 안보 및 방위 정책(CSDP)으로 이관하는 절차를 시작하기로 공식 합의했다.[20][39] 이에 따라 구체적인 조치들이 이어졌다. 2002년 1월 1일, WEU 산하의 안보 연구소와 위성 센터는 각각 유럽 연합 안보 연구소(EUISS)와 유럽 연합 위성 센터(EUSC)로 명칭을 변경하며 EU 기구로 편입되었다. 또한, 1996년 체결된 베를린 협정을 개정한 베를린 플러스 협정(2002년)을 통해 EU는 독자적인 평화 유지 작전 수행 시 NATO의 자산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기능 이관 추세는 이후 체결된 EU 조약들에도 반영되었다. 니스 조약에서는 암스테르담 조약에서 WEU에 부여했던 역할 관련 조항이 삭제되었다. 이후 발효된 리스본 조약은 EU와 NATO(베를린 플러스 협정 포함) 및 WEU 간의 협력 가능성을 열어두었으나,[21][22][40][41] WEU의 근간이 된 브뤼셀 조약 제4조의 집단 방위 조항은 EU 조약으로 직접 흡수되지 않았다.[23] 다만, 리스본 조약에 의해 개정된 유럽 연합 조약 제42조 7항이 상호 방위 조항을 포함하고 있어, 이를 통해 기존 브뤼셀 조약의 방위 공약이 EU의 틀 안으로 통합된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24][42]
WEU의 기능이 EU로 이전되면서 WEU 의회의 역할과 위상에도 변화가 생겼다. EU의 CSDP 정책을 직접 감독할 권한이 없어진 WEU 의회는 해산 압박에 직면했다. 그러나 의회 측은 자체적으로 축적해 온 감독 경험, 전문성, 회원국과의 연계 등을 내세우며 중요한 역할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임시 유럽 안보 및 방위 의회'로 명칭을 변경하고, 유럽 협약 논의 과정에서 EU 내 제2의 의회 기구로 편입시켜 줄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CSDP에 대한 효과적인 감독, EU-NATO 관계 개선 기여, 회원국 의회 중심으로 구성되어 정부 간 협력 방식에 더 적합하다는 점 등을 근거로 들었다.
하지만 유럽 헌법 조약과 리스본 조약은 EU의 외교 정책 결정 구조를 간소화하고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혁을 추진했다. 이 과정에서 별도의 CSDP 감독 기구를 두기보다는 유럽 의회의 외교 및 안보 정책에 대한 감독 권한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결정되었다.[25][43]
2. 5. 해체 (2009-2011)
2009년, 리스본 조약이 발효되면서 기존 서유럽 연합(WEU)이 가지고 있던 상호 방위 조항의 기능은 유럽 연합(EU)으로 인계되거나 대체되었다.[2][35] 리스본 조약 발효 이후 WEU의 역할과 존속 여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조직 해체 가능성도 제기되었다.[29][44]이러한 흐름 속에서 2010년 3월 30일, 영국 외무부의 정무 차관 크리스 브라이언트는 영국이 1년 안에 WEU에서 탈퇴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26][45] 바로 다음 날인 3월 31일에는 독일 외무부 역시 수정된 브뤼셀 조약에서 탈퇴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27][46]
같은 해, 당시 WEU 의장국이었던 스페인은 10개 회원국 전체를 대표하여, 모든 회원국이 개정 브뤼셀 조약에서 집단적으로 탈퇴하고 2011년 6월까지 WEU 관련 기구를 폐쇄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28][47]
결국 2011년 6월 30일, 서유럽 연합은 공식적으로 해체되었고 모든 활동을 종료했다.[36]
3. 회원국 및 참여 현황
서유럽 연합(WEU)은 참여 국가의 지위를 회원국, 준회원국, 옵서버 국가, 협력 파트너 국가의 네 가지로 구분했다. 2001년 6월 당시 서유럽 연합 사무총장이던 하비에르 솔라나는 정회원국 외 국가들의 지위 변경 가능성은 낮다고 언급했다.
WEU는 최종적으로 10개의 회원국, 6개의 준회원국, 5개의 옵서버 국가, 7개의 협력 파트너 국가로 구성되었다. 각 지위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및 유럽 연합(EU) 가입 여부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 회원국 (Member States): 1954년 수정 브뤼셀 조약에 따라 가입한 국가들로, 모두 NATO와 EU 회원국이었으며 WEU 내에서 완전한 투표권을 가졌다. 총 10개국이 해당되었다.
- 준회원국 (Associate Members): 1992년 로마 선언에 따라 신설된 지위로, NATO 회원국이지만 EU 비회원국인 유럽 국가들을 대상으로 했다. 총 6개국이 참여했다.
- 옵서버 국가 (Observer States): 1992년 로마 선언에 따라 마련되었으며, EU 회원국이지만 NATO 비회원국인 국가들이 주로 참여했다. 단, 덴마크는 예외적으로 두 기구 모두의 회원국이었으나, 마스트리흐트 조약에 따른 옵트아웃으로 EU의 공동 안보 및 방위 정책(CSDP)에는 참여하지 않았다.[37] 총 5개국이 옵서버 지위를 가졌다.
- 협력 파트너 국가 (Associate Partners): 1994년 키르히베르크 선언에 따라 만들어졌으며, 당시 NATO와 EU 모두에 가입하지 않았던 국가들을 대상으로 했다. 이후 이들 국가는 대부분 NATO와 EU에 가입했다. 총 7개국이 참여했다.
각 지위에 따른 국가 목록 및 상세한 가입 시기는 아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회원국
1954년 수정 브뤼셀 조약에 따른 정회원 국가는 다음과 같다. 이들 국가는 모두 NATO와 유럽 연합의 회원국이었으며, 서유럽 연합 내에서 완전한 투표권을 가졌다.
3. 2. 옵서버 국가
1992년 로마 선언에 따라 옵서버 국가 지위가 마련되었다. 옵서버 국가는 기본적으로 유럽 연합(EU) 회원국이지만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회원국이 아닌 국가들로 구성되었다.[37] 서유럽 연합의 옵서버 국가는 다음과 같다.
덴마크는 예외적으로 유럽 연합과 북대서양 조약 기구 모두의 회원국이었으나, 마스트리흐트 조약(1992)에 따른 옵트아웃 조항으로 인해 유럽 연합의 공동 안보 및 방위 정책(CSDP)에는 참여하지 않았다.[37]
3. 3. 준회원국
1992년 로마 선언에 따라 준회원국 제도가 만들어졌다. 이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는 가입했지만 유럽 연합(EU)에는 가입하지 않은 유럽 국가들을 포함하기 위한 것이었다.
준회원국이었던 폴란드, 체코, 헝가리는 이후 유럽 연합에 가입했다.
3. 4. 협력 파트너 국가
1994년 키르히베르크 선언에 따라 협력 파트너 국가 제도가 마련되었다. 이는 당시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와 유럽 연합(EU) 모두에 가입하지 않은 국가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후 이들 국가는 모두 NATO와 EU에 가입하였다.협력 파트너 국가는 다음과 같다.
4. 기구
브뤼셀에 본부를 둔 서유럽 연합(WEU)은 65명의 직원과 연간 1340만유로의 예산을 운용했다.[29][44] 주요 기구로는 각료 이사회와 의원 총회(의회)가 있었다.
각료 이사회는 서유럽 연합의 운영을 주도했으며, 대사급의 상임대표위원회로부터 지원을 받았다. 브뤼셀 조약에 명시된 사회적, 문화적 활동은 유럽 내에서의 역할 중복을 피하기 위해 유럽 평의회에 위임되었다.[48]
의회는 유럽 평의회 의회에 파견된 각 회원국 대표단으로 구성되었다. 의회는 이사회의 활동을 감독하는 역할을 했지만, 이사회에 대해 직접적인 의무를 지지는 않는 자문 기관의 성격을 가졌다.
서유럽 장비 그룹(WEAG, Western European Armaments Group)은 본래 1976년 독립 유럽 프로그램 그룹(IEPG, Independent European Programme Group)이라는 이름으로 유럽 병기 기구 창설을 목표로 설립된 병기 협력 포럼이었다. 1993년부터 WEAG라는 명칭을 사용했으며, 2000년에는 오스트리아, 벨기에, 체코, 덴마크, 핀란드, 프랑스, 독일, 그리스, 헝가리,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노르웨이, 폴란드, 포르투갈, 스페인, 스웨덴, 튀르키예, 영국 등 19개국이 회원국으로 참여했다. WEAG는 2005년 5월 23일에 해체되었다.[49]
서유럽 장비 기구(WEAO, Western European Armaments Organisation)는 병기 기구로 계획되었으나, 실제 운영은 국방 연구 및 기술 분야의 지원 서비스 제공 등 연구 부문에 한정되었다. WEAO는 1996년에 설립되어 2006년 8월에 폐쇄되었다.[31][50]
WEAG와 WEAO의 기능은 유럽 방위청(EDA)으로 이관되었다. 이 외에도 안보 연구소와 위성 센터 등 다른 기구들도 유럽 연합으로 이관되었다.
5. 활동
서유럽 연합(WEU)은 창설 이후 다양한 군사 및 비군사 활동을 수행했다. 군사적 임무는 주로 발칸 반도 지역에 집중되었으며, 초기에는 문화 및 사회 분야의 비군사적 활동도 담당했으나 이는 1960년 유럽 평의회로 이관되었다.
5. 1. 군사 활동
서유럽 연합(WEU)은 주로 발칸 반도 지역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군사 및 경찰 임무를 수행했다.[33]기간 | 작전명/임무명 | 장소/대상 지역 | 내용 |
---|---|---|---|
1987–1988 | 클린스윕 작전 | 호르무즈 해협 | 기뢰 제거 작전 |
1993년 6월–1996년 10월 | 샤프 가드 작전 | 아드리아 해 |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와 공동으로 수행한 해군 작전 |
1993년 6월–1996년 10월 | 경찰 및 세관 작전 | 다뉴브강 |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와 함께 수행 |
1994년 7월–1996년 10월 | 경찰 분견대 파견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모스타르 | |
1997년 5월–2001년 5월 | 다국적 자문 경찰 부대(MAPE) | 알바니아 | |
1999년 5월–2001년 11월 | 지뢰 제거 지원 임무(WEUDAM) | 크로아티아 | |
1998년 11월–1999년 7월 | 일반 보안 감시 임무 | 코소보 |
5. 2. 비군사 활동
서유럽 연합(WEU)은 초기에는 문화 및 사회 분야와 관련된 비군사적 구조와 활동을 수행했다. 하지만 이러한 기능들은 1960년에 유럽 평의회로 이전되었다.[34]6. 유럽 신속 작전 부대 (EUROFOR)
1995년 5월 15일, 리스본에서 열린 서유럽 연합(WEU) 각료 이사회에서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은 유럽 신속 작전 부대(EUROFOR) 창설을 선언했다. 유로포는 1998년 6월 서유럽 연합의 실무 부대로서 작전을 시작했다.[51]
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Aviation
Osprey
[2]
웹사이트
Statement of the Presidency of the Permanent Council of the WEU on behalf of the High Contracting Parties to the Modified Brussels Treaty – Belgium, France, Germany, Greece, Italy, Luxembourg, The Netherlands, Portugal, Spain and the United Kingdom
http://www.weu.int/D[...]
2024-01-15
[3]
서적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A Commenta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8-13
[4]
간행물
Hansard extract
https://api.parliame[...]
1957-02-18
[5]
서적
The elusive quest for European security: from EDC to CFSP
https://archive.org/[...]
Palgrave Macmillan
2010-11-27
[6]
웹사이트
Did you know that Europe already had a defensive military alliance prior to NATO?
http://www.aco.nato.[...]
NATO
2010-08-08
[7]
서적
NATO 1948: the birth of the transatlantic Alliance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2010-08-08
[8]
논문
Brussels Treaty Organisation (Resolution)
https://api.parliame[...]
House of Commons of the United Kingdom
2010-11-27
[9]
웹사이트
Text of Modified Brussels Treaty on the WEU website
http://www.weu.int/T[...]
2018-02-22
[10]
웹사이트
The Western European Union
http://www.cvce.eu/e[...]
[11]
웹사이트
1948 - Documents, Records and Archives - www.coe.int
https://www.coe.int/[...]
2024-01-15
[12]
웹사이트
The Genscher-Colombo Plan: A forgotten page in the European Integration History
https://web.archive.[...]
2024-09-11
[13]
웹사이트
European Political Cooperation (EPC)
https://oxfordre.com[...]
2024-09-13
[14]
웹사이트
BBC Politics 97
https://www.bbc.co.u[...]
[15]
웹사이트
THE EU AS A BLACK WIDOW: DEVOURING THE WEU TO GIVE BIRTH TO A EUROPEAN SECURITY AND DEFENCE POLICY
https://www.utwente.[...]
2024-01-15
[16]
웹사이트
Summaries of EU Legislation - EUR-Lex
https://eur-lex.euro[...]
[17]
웹사이트
NATO Ministerial Meetings Berlin - 3-4 June 1996
https://www.nato.int[...]
[18]
웹사이트
Franco–British St. Malo Declaration (4 December 1998)
http://www.cvce.eu/o[...]
2015-08-18
[19]
웹사이트
The Saint-Malo Declaration and its impact on ESDP after 10 years - Defence Viewpoints from UK Defence Forum
http://www.defencevi[...]
2015-08-18
[20]
간행물
Marseille Declaration 2000
http://www.weu.int/d[...]
[21]
웹사이트
CONSOLIDATED VERSIONS OF THE TREATY ON EUROPEAN UNION AND THE TREATY ON THE FUNCTIONING OF THE EUROPEAN UNION, Protocol 10 and 11
http://register.cons[...]
[22]
웹사이트
Western European Union (WEU)
http://europa.eu/sca[...]
[23]
웹사이트
EU Security Policy & the Role of the European Commission
http://ec.europa.eu/[...]
[24]
웹사이트
House of Lords - European Union - Tenth Report
https://publications[...]
[25]
간행물
Occasional Paper n.57: The democratic legitimacy of the European Security and Defence Policy
http://www.iss.europ[...]
2005-04
[26]
웹사이트
Announcements - GOV.UK
http://www.fco.gov.u[...]
Fco.gov.uk
2013-08-25
[27]
웹사이트
diplo - Startseite - HTTP Status 404
http://www.auswaerti[...]
Auswaertiges-amt.de
2013-08-25
[28]
웹사이트
Ministerio de Asuntos Exteriores y de Cooperación {{!}} Gobierno de España
http://www.maec.es/e[...]
2024-01-15
[29]
뉴스
European defence league poised for debate on dormant pact
http://euobserver.co[...]
EU Observer
2009-09-03
[30]
웹사이트
Western European Armaments Group
http://www.weu.int/w[...]
2007-06-03
[31]
웹사이트
WEAO Website
http://www.weao.weu.[...]
[32]
웹사이트
Eurofor
http://www.eurofor.i[...]
[33]
웹사이트
Shaping of a Common Security and Defence Policy - EEAS - European External Action Service - European Commission
https://eeas.europa.[...]
[34]
웹사이트
Leaflet on rm.coe.int.
https://rm.coe.int/C[...]
[35]
웹사이트
Statement of the Presidency of the Permanent Council of WEU of 31 March 2010
http://www.weu.int/D[...]
Western European Union
2010-04-24
[36]
웹사이트
DECISIONS COUNCIL DECISION 2011/297/CFSP of 23 May 2011
http://www.weu.int/d[...]
西欧同盟
2011-12-10
[37]
문서
[38]
간행물
ニューズウィーク日本版(1991年10月31日号)
TBSブリタニカ
1991-10-31
[39]
웹사이트
Marseille Declaration 2000
http://www.weu.int/d[...]
Western European Union
2010-04-24
[40]
문서
[41]
웹사이트
Glossary - Western European Union
http://europa.eu/leg[...]
EUROPA
2010-04-24
[42]
웹사이트
House of Lords Tenth Report - Mutual Assistance in the Case of Armed Aggression
http://www.publicati[...]
Parliament of the United Kingdom
2010-04-24
[43]
웹사이트
The democratic legitimacy of European Security and Defence Policy
http://www.iss.europ[...]
European Union Institute for Security Studies
2010-04-24
[44]
웹사이트
European defence league poised for debate on dormant pact
http://euobserver.co[...]
EUobserver.com
2010-04-24
[45]
웹사이트
British Membership of the Western European Union
http://www.fco.gov.u[...]
Foreign & Commonwealth Office
2010-04-24
[46]
웹사이트
Bundeskabinett beschließt Kündigung des WEU-Vertrags
http://www.auswaerti[...]
Auswärtiges Amt
2010-04-24
[47]
웹사이트
Declaración de la Presidencia del Consejo Permanente de la UEO en nombre de las Altas Partes Contratantes del Tratado de Bruselas Modificado – Alemania, Bélgica, España, Francia, Grecia, Italia, Luxemburgo, Países Bajos, Portugal y Reino Unido
http://www.maec.es/e[...]
Ministerio de Asuntos Exteriores y de Cooperación de España
2010-04-24
[48]
웹사이트
Western European Union
http://www.ena.lu/we[...]
European NAvigator
2010-04-24
[49]
URL
Western European Armaments Group
http://www.weu.int/w[...]
[50]
URL
Western European Armaments Organisation
http://www.weao.weu.[...]
[51]
URL
Eurofor
http://www.eurofor.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